
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방역
( 락스 및 소독용 에탄올을 이용한 소독방법 )
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은 비말감염이나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지역(자가격리 등), 공공시설(어린이집, 학원 등), 의료시설(요양병원, 병원 등), 공동주택(승강기, 손잡이) 등 시설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활동하지 못하도록 환경표면관리가 매우 중요하다.
환경표면관리는 우선 일상적인 청소를 바탕으로 하여 소독용 에탄올(70% 이상의 알콜), 락스(차아염소산나트륨-유효염소4% 이상) 등을 활용하여 환경소독을 실시해야 한다.
또한 환자환경은 항상 오염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환경소독을 빈번히 접촉하는 환경표면 등을 중심으로 적절한 손 소독 등의 표준예방책과 공공시설 및 의료시설 등의 환경표면관리를 통하여 감염병(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등)을 예방해야 한다.
따라서 “환경표면의 클리닝 및 소독”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니 이를 적극 활용하여 감염병(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등)을 예방해야 한다.
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“환경표면의 클리닝 및 소독”
□ 대상시설: 방역·소독 대상시설
- 학교 및 학원, 숙박업소, 도서관, 병원 등
- 지하철, 버스, 항공기, 여객선, 택시 등 대중교통수단
- 영·유아 보육시설 및 유치원 등
- 실내공연장, 백화점, 대형마트, 집단급식소 등
- 공동주택
□ 대상부위
- 문손잡이(출입문 및 화장실 등), 승강기, 전화기, 자판기, 침대난간, 테이블 등
손 접촉이 빈번한 부위 표면 (장난감, 책 등 바이러스오염 운반물)
- 바닥
□ 방역·소독방법
▷ 공간살포 -> 초미립자살포(ULV) 이용, 약제공간살포
▷ 분무살포 -> 분무기, 손 분무기
▷ 표면소독 -> 극세사(걸레) 닦는 소독
▷ 문 손잡이 등 손 접촉이 빈번한 곳
- 가정용 손 분무기(1L) 또는 방영욕 손분무기로 해당 부위 약제 분사
- 소독약을 적신 극세사 행주로 오염부위 세정
□ 방역·소독인 보호장구
- 장갑, 마스크 등
락스(차아염소산나트륨)를 이용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소독
◎ 승강기: 버튼, 손잡이 – 매일 소독합니다.
- 희석비율: 물 3L에 락스 10ml (300배 희석액)
- 소독방법: 분무기 또는 희석액을 걸레에 적셔서 닦는다.
◎ 바닥: 매일 소독합니다.
- 희석비율: 50~60배 희석액
- 소독방법: 희석액을 걸레에 적셔서 닦는다.
◎ 식기류: 그릇, 대접, 식판, 숟가락, 젓가락, 포크, 컵 – 매일 소독합니다.
- 희석비율: 물 3L에 락스 10ml (300배 희석액)
- 소독방법: 설거지 후 희석액에 5분간 담궈 두었다가 맑은 물로 헹구어낸다.
◎ 행주 – 매일 소독합니다.
- 희석비율: 물 3L에 락스 15ml (200배 희석액)
- 소독방법: 깨끗이 세척한 후 희석액에 헹구어서 사용한다.
세척 시 마다 희석액에 행구어 사용한다.
퇴근 시 삶아 소독하여 건조대에 걸어놓고 퇴근한다.
◎ 도마, 칼, 수세미, 솔 등 – 매일 소독합니다.
- 희석비율: 물 3L에 락스 10ml (300배 희석액)
- 소독방법: 희석액에 5분간 담궈둔다.
크기가 큰 것은 행주나 솔을 희석액에 적셔 문지른다.
◎ 싱크대, 냉장고, 찬장 등
- 희석비율: 물 3L에 락스 10ml (300배 희석액)
- 소독방법: 싱크대- 수세미를 희석액에 적셔 싱크대 내부를 골고루 닦는다.
냉장고, 찬장- 행주를 희석액에 적셔 골고루 닦는다.
◎ 고무장갑 – 매일 소독합니다.
- 희석비율: 물 5L에 락스 10ml (500배 희석액)
※ 물 5L 일반적 욕실에서 사용하는 양동이 반의 양
- 소독방법: 세척 후 희석액에 헹군다.
◎ 화장실 소독
- 희석비율: 물 10L에 락스 100~200ml (50~100배 희석액)
※ 200ml 물컵 1컵 분량의 양
◎ 하수구, 쓰레기통, 오물처리장 소독
- 희석비율: 물 10L에 락스 100ml (100배 희석액)
- 소독방법: 하수구- 희석액을 하수구에 골고루 흘려버린다.
쓰레기통- 희석액을 내부와 주위에 뿌린다.
오물처리장- 희석액을 흠뻑 적셔준다.
◎ 플라스틱이나 목제완구
* 소독
- 희석비율: 물 3L에 락스 10ml (300배 희석액)
- 소독방법: 희석액을 걸레에 적셔서 닦는다.
※ 락스 희석 시 차가운 물을 사용해야 하며, 뜨거운 물은 희석을 금함